-
제가 일하고 있는 서비스 개발팀은 레진코믹스의 백엔드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는 팀입니다. 저희는 작년부터 Kotlin과 Spring WebFlux를 메인 스택으로 선정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선 WebFlux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경험한 이슈들을 공유하려 합니다. 이 글은 WebFlux 또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지식을 다루진 않으므로 다소 불친절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WebFlux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은 제 블로그의 Spring WebFlux와 Kotlin으로 만드는 Todo 서비스 - 1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의 예제는 저희가 서비스하고 있는 코드를...
-
핀터레스트의 안드로이드 개발팀이 코틀린을 도입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해결책을 소개한
The Case Against Kotlin을 foot번역하고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요약했습니다.
저자 라이언 쿡(Ryan Cooke)은 현재 코틀린이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에서 “뻥튀기된 기대감의 산(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쯤에 있다고 말합니다.
레진시 개발동에서는 이미 코틀린을 부분적으로 도입했고, 현재는 범위를 넓혀가는 중인데요… 정말 괜찮은 걸까요?
-
지난 5월 구글I/O를 통해서 안드로이드 공식 지원 언어가 된
코틀린의 인기가 수직 상승 중인데요, 진작에 코틀린은 검토하고 사용해 온 레진시 개발동 주민들이 보기엔 왠 뒷북인가 싶지만,
코틀린의 인기에 묻어가는 의미로(?) 몇달 전 사내에서 스터디했던 내용을 재활용 요약 정리했습니다.